2016년 6월 2일, 폴란드 경제 개발부는 폴란드 법에 저전압 전기용품 지침 2014/35/EC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발의하였다. 이 규정은 시장에 유통되기 전에 제품이 필수적으로 만족해야할 안전 요구사항과 상태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규정은 교류 50V~1000V와 직류 75V~1500V로 설계된 전기용품에 적용된다. 제조자는 부속서 1에서 설명하는
2016년 12월 9일 스웨덴 에너지환경부는 전기·전자기기 내 유해 물질 법령 SFS 2012:861에 대한 개정안을 발표했다. 개정 법령은 2019년 7월 21일부터 전기·전자기기 내 다음 물질의 함량을 중량 0.1%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납, 수은, 육가크로뮴, 폴리브롬화 다이페닐에테르,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프탈산부틸벤질, 프탈산디부
2016년 12월 14일, 체코 정부는 무선기기의 판매, 서비스 그리고 적합성 평가에 대한 규정 Regulation 426/2016을 제정했다. 이 기준은 대상 기기, 적합성 평가 절차, 제품과 함께 공급되어야 하는 기술문서의 범위, 라벨 규정 그리고 적합성 선언의 필요 요건에 관한 기술적 요건을 명시한다. 제조자는 보건 및 안전 보호, 적정한 수준의
2020년 7월 1일부터, 오만시장에 판매되는 모든 유무선통신기기(telecommunications, terminal equipment)는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EU) 2017/2102. 규정을 만족해야 함. 통신기기는 오만 Decision No. 59/2015에 따라 반드시 T
2020년 6월 30일 우크라이나는 특정품목에 대한 Energy Labelling 및 Ecodesign 기술규정 개정에 대한 결의안을 제안함 EU 규정과의 조화가 목적으로 주요 변경사항은 아래와 같음 1. 에어컨 Energy Labelling 기술규정(Resolution No. 360, 2017.12.09 발효) 개정 - 13조 및 14조에 명시된 부
사우디라아비아 규제국 SASO에서 아래 내용과 같이 RoHS(유해물질규제) 도입 초안을 발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 SASO(Saudi Arabian Standards, Metrology and Quality Organization)이 발표한 RoHS 규제초안에는 규제범위, 목적, 공급자책임, 적합성평가절차, 패널티, 일반적인 규정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전 세계 정보통신 기술(ICT) 표준화 프레임워크의 전면적인 개편을 강조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했다. 최근 ITU 본부가 소재하고 있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BT, Cisco Systems, MS, Nokia 등 통신업계 대표 및 ITU 운영책임자 19명은
전 세계 정보통신 기술(ICT) 표준화 프레임워크의 전면적인 개편을 강조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했다. 최근 ITU 본부가 소재하고 있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BT, Cisco Systems, MS, Nokia 등 통신업계 대표 및 ITU 운영책임자 19명은
ITU(국제전기통신연합)은 홈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와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술표준인 G.hn을 승인하였다. ITU에 따르면 이 표준은 서비스업자들이 HDTV와 디지털 IPTV와 같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G.hn으로 인해 소비자전자제품 제조업자들은 홈 엔터테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은 올 상반기내로 9개 품목의 가전제품에 대해 인증제도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제도의 대상이 되는 품목은 인증을 획득해야 하고,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UAE 내로의 반입이 허용되지 않을 예정이라고 Emirates Business가 밝혔다. 규제 대상이 되는 품목에는 연장 코드(extension cord), 순간온수기, 전기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