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18일, 독일 의회는 에너지 관련 제품의 에코디자인 요구사항(EVPGV)의 법령의 개정안을 승인했다. EVPGV 시행 이후로 EU에서는 11개의 새로운 시행 규제를 발행하였고 더 나아가서 특정 제품의 에코디자인 요구사항을 발표했으며, 따라서, 이에 상응하는 독일의 에코디자인 법령 개정안이 규정되었다. 이 개정안은 효과적인 시장 감시, 부적
이 결의안은 소비자 제품에 관한 노르웨이, 스웨덴 그리고 EU 에코라벨의 사용 허가 요건을 제정했으며 이전 아이슬란드 라벨에 관한 결의안 No. 525/2006을 폐지한다. 아이슬란드 국가 환경부는 약관과 함께 신청과 적합성과 관련하여 이 라벨의 사용의 허가를 교부한다. 만약 이 환경라벨을 다른 사법지역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환경부 결의안 제 16조에 따라
2016년 2월 15일에 발효된 이 법령은 이탈리아 법에 지침 2013/56/EU의 규정을 이항하였다. 무선전동공구 배터리에 가드뮴의 사용에 대한 허가 면제는 2016년 12월 31일부터 취소된다. 그러나 적용날짜 전에 이미 시장에 출시된 요구사항들을 만족하지 않은 배터리 및 축전지는 그 제품이 소진 될 때까지 판매 가능하다. 이 법령은 또한 장비에 내장
이 법령은 EU 전자파 적합성 지침을 핀란드 국가 법으로 개정하여 실행한다. 이 법령은 적합성 평가 및 기술문서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 부록 Ⅱ, Ⅲ을 따라야 한다고 명시한다. 적합성 선언은 또한 이 지침의 조항에 따라야 한다. 안전 정보는 필요할 경우 예방책의 실시 및 사용 제한에 대한 명확한 지침사항과 함께 모든 전기 기기에 수록되어야 한다. 전자파
영국의 브렉시트 (노딜 브렉시트 포함) 발생에 따라 기업의 영국 및 EU 지역 수출에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KTL 해외인증정보시스템은 브렉시트에 따른 기업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지원하고자 아래와 같이 전문 상담 창구를 안내하오니, 브렉시트에 따른 시험인증 분야 문의가 있거나 지원이 필요한 기업은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최수호 책임연구원 (
2021년 새롭게 시행되는 UKCA 마킹 규칙에 관한 공표 [적용] - 2021년 1월 1일부터 영국에서 제조하여 시장에 출시한 제품 - 2021년 1월 1일부터 GB시장에 출시하는 제조 제품 [공표일 및 출처] - 공표일: 2020년 9월 1일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y & Industrial Strategy 영국
1. 대상 제품 : UKCA 마크 적용이 필요한 제품 (UK시장에 판매하기 위한 것으로 UKCA 마킹을 요구하는 법률이 적용되고, 필수 제3자 적합성평가가 요구되는 제품) * 첨부 문서의 Annex A 참조 2. 주요 내용 - 영국이 EU 요건에 부합하는 제품을 수용하는 기간을 2023년 1월 1일까지 연장 - UKCA마크를 제품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2016년 6월 8일, 슬로바키아 정부는 무선장비에 대한 EU 지침 2014/53/EU를 슬로바키아 법에 포함시키려는 목적으로 규정 193/2016을 발의하였다. 이 규정은 슬로바키아에 무선장비를 유통시키고 서비스하려면 필요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규정은 무선측위(위치 감별, 무선 전파를 사용하는 물체의 특징이나 속도)나 통신목적으로 사용되어 무선
2016년 10월 27일, 에스토니아 연방 환경부는 유독 물질 및 위험 제품을 제한하는 규제 No. 30 of 2011을 무효로 하고, 국가 RoHS 규정을 개정하는 규제안을 채택했다. 폐기물 법 제 27조를 기반으로 하는 이 규제는 EU 조항에서 예외물질로 승인되어 허용된 물질의 한계치를 제한하며 전기·전자기기 내의 카드뮴, 수은, 크로뮴, 폴리브롬화
2016년 11월 17일 덴마크 환경식품부는 특정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수입, 판매 및 수출용 제품 생산의 제한을 시행하는 본 명령을 채택했다. 본 명령은 RoHS 지침에 대한 최근 개정안이 반영되어 있으며 이전 RoHS 명령 482/2016의 폐지에 대한 책임이 있다. 명령의 조건에 따라, 제조자, 수입자 및 유통업자의 책임은 다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