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ronic equipment): 유럽 회원국 EU 영내로 수입되는 전기전자제품의 특정 유해물질 사용 제한 지침 - 규제확대 내용 (1) 규제물질 추가 - 납 (Pb) - 카드뮴 (Cd) - 폴리브롬화 비페닐 (PBB) -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 (PBB) - 6가 크롬 - 수은 (Hg) 상기 6대 물질에 하기 4대물질 추가 - 부틸 벤진
- 2020년 9월 18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전기전자제품 특정 유해물질 사용제한(RoHS) 기술규정을 승인하는 결의안(Resolution No. 139)에 대한 수정안을 발표함 - 목적은 유럽 RoHS 지침(2011/65/EU) 개정(사용금지성분 예외조항 확대)에 따라 자국 규정도 개정함으로써 유럽 기준과 일치시키기 위함 - 원문 첨부 참조 - 특정 전
사우디라아비아 규제국 SASO에서 아래 내용과 같이 RoHS(유해물질규제) 도입 초안을 발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 SASO(Saudi Arabian Standards, Metrology and Quality Organization)이 발표한 RoHS 규제초안에는 규제범위, 목적, 공급자책임, 적합성평가절차, 패널티, 일반적인 규정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덴마크 환경보호국은 2021년 10월 13일 전기 전자 제품에 대한 특정 유해물질 제한 명령을 발표했다. 이 명령의 목적은 EU RoHS 지침을 수정하는 (EU) 2021/647에 대한 2026년 4월 20일까지 [민간용(전문용) 방폭 전기, 전자식 착화기 lead diazide, lead styphnate, lead dipicramate, orange l
2007년 1월에 시행되기 시작했고, 재사용, 개조 및 재활용의 형태를 규제하여 생산되는 폐기물 처리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당초 WEEE의 개정이 2010년 상반기에 시행될 것으로 예정되었으나, 현재 EU 내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고 개정의 시행일정 또한 협의 중에 있다. 자료출처: www.rapidonline.com
30 of 2011을 무효로 하고, 국가 RoHS 규정을 개정하는 규제안을 채택했다. 폐기물 법 제 27조를 기반으로 하는 이 규제는 EU 조항에서 예외물질로 승인되어 허용된 물질의 한계치를 제한하며 전기·전자기기 내의 카드뮴, 수은, 크로뮴, 폴리브롬화 비페닐, 그리고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 등의 물질 사용을 금지한다. 에스토니아 환경부는 또한 EU
;다. 19일 환경부에 따르면 REACH는 EU내 제조?수입되는 기존 물질의 양 또는 유해...록을 완료한 기업이라도 REACH 대응의 고삐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또 화학물질의 유해...질개발 등의 부담을 주게 될 전망이다. 또한 EU내 제조(생산)?수입되는 완제품 내 특정유해물질에 대한 정보를 유럽화학물질청에 제출해야 하는 REACH 신고 규
AAFA(미국의류신발협회), 유해...의류신발협회(이하, AAFA)는 의류, 신발류, 가정용 섬유직물과 관련해 AAFA RSL(유해물질리스트)에 대한 6번째 책자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6번째 책자에서 AAFA의 RSL은 산업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아주 중요한 정보원이고, 이 도구를 효과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