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일에 관보에 게재되고 2022년 01월 05일부터 시행 예정인 「전기전자기기 설비의 유해물질 감소에 관한 기술규정」의 채택에 관하여, SASO는 기술규정 적용을 6개월 연기한 후, 아래 표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용할 예정임을 발표하였다. 1-가정용 전기 기기 1-A-소형 가정용 전기 기기: 2022.07.04 1-B-대형 가정용 전기 기기: 2
SI 2012/3032 수정안에서는 특정 의료기기의 또는 이의 예비부품으로 사용되는 특정 유해물질 비스(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Bis(2-ethylhexyl) phthalate (DEHP), butyl benzyl phthalate (BBP), diisobutyl phthalate (DIBP))의 면제 및
중국상무부는 중국 RoHS 목록에 대한 초안을 발표하였다. 이 자료는 유해...ory pre-market certification)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동 인증은 유해물질사용제약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내 시험소의 성적서를 요구할 것이다. 일단 중국의 RoHS 목록이 발표되거나 공식적으로 채택이 이루어지면 시행되기 전까지 약 10개월이 걸릴
동 액화 가스, 유기 과산화물, 제1급 화약물, 1급 및 3~9급에 해당하는 위험물질 및 폐기물..., 중계화물 대량컨테이너, 대량 포장, 휴대용 탱크, 집합형 가스 컨테이너, 위험물질 및 폐기물...시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NOM-030-SCT2/2009를 발간했다. ? 위험물질, 폐기물...2/2009를 발간했다. 기타 개정사항 ? SCT는 1급 및 3~9급의 위험 물질 및 폐기물
련되어 있다. 새로운 핸드폰이라도 소비자들이 이전의 충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전력기기에 따른 폐기물... 될 것이다. EU 기업?산업 담당 집행위원은 EU에서만 휴대폰 부속품으로 매년 수천톤의 폐기물이 발생함을 지적하며 “어디서 새 휴대폰을 사든 쓰던 충전기를 버릴 필요가 없게 됐다”고 합의안의 의의를 설명했다. EU 지역의 핸드폰 시장의 90%를 점유하는 Ap
행되는 캘리포니아주의 가정용기기 효율 프로그램으로 인해 충전기 제조업자들은 에너지 효율과 폐기물 절감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효율 필요요건은 배터리의 수용 한도에 근거해 산출되었으며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서도(2KW 입력전력 이상과 미만)달라질 수 있다. 본 요건은 최근 채택된 규정의 섹션 1605.3(w)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규정은 배터
지난 1월 독일에서 열린 유럽의회 총회의 투표결과에 따라, 새롭게 수정된 전기전자 폐기물처리지침(WEEE,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이 법안 제정 단계에 점차 가까워 지게 되었다. 더욱 강화된 새로운 WEEE지침은, EU 공식저널에 출판됨에 따라 올해 여름쯤 발효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각료
럽집행위원회(The European Commission, 이하 EC)는 최근 스웨덴이 전자폐기물에 대한 EU법을 자국법화 시키는 데에 실패함에 따라 유럽사법재판소에 회부할 예정임을 밝혔다. 유럽집행위는 폐 전기전자제품처리지침(WEEE)의 스웨덴 자국법화의 단점에 대해 우려를 표한 바 있다. EC는 스웨덴에 지난 2007년부터 폐 전기전자제품(WEEE)을